• 발행일 2025-03-21(금)

[JOB스코어 분석] (268) TKG휴켐스: 2022년 매출 총액·영업 이익 전년 대비 모두 증가…직원-박주환 회장간 연봉 격차는 최대 29.05배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2.28 13:2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잡스코어(JOB SCORE)는 굿잡뉴스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해당하는 고용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독창적 지표‘입니다. 일자리 창출의 측면에서 해당 기업의 역량을 평가합니다. 개별 기업의 잡스코어는 2가지 ’기본지수‘와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지수는 ①매출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매출액(1억 원당 직원 수) ②영업익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영업이익(1억 원당 직원 수) 등입니다. 매출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의 매출이 몇 명의 직원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영업익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을 벌 때 몇 명의 직원을 고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는 각사의 사업보고서상 기재된 CEO들의 연봉을 전체 직원의 평균 연봉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이는 기업 내 분배구조를 파악하게 해줍니다. 기본지수와 연봉 격차 지수는 모두 최근 3년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함으로써 그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편집자 주>

 

스크린샷 2024-02-27 오전 8.22.36.jpg
TKG휴켐스 김우찬 대표이사 / 사진편집=굿잡뉴스 윤예은

 

[굿잡뉴스=윤예은 기자] TKG휴켐스는 TKG태광 계열의 정밀화학제품 제조업체다. 2002년 9월 농협계열사인 남해화학(주)의 정밀화학사업부문에서 분할해 (주)휴켐스로 설립했다. 같은 해 10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으며, 2006년 7월 태광실업(현, TKG태광)에 인수됐다. 2012년 8월 폴리부텐-1 생산업체인 (주)일렘테크놀러지를 인수했고, 2022년 3월 지금의 상호로 변경했다. 


주요 사업은 NT계열과 NA계열 제품의 생산 및 판매다. NT계열은 폴리우레탄 중간소재인 DNT, MNB 등을 생산 및 판매하며, NA계열은 암모니아의 주원료인 희질산, 농질산, 초안 등을 생산하고 판매한다. TKG휴켐스는 국내 1위 질산 기업으로 전남 여수에 14개 생산시설을 가동해 연간 230만t 이상의 화학 제품을 생산한다. 


지난 해 3월, 노르웨이 업체 버겐카본솔루션즈(Bergen Carbon Solutions)와 MOU를 체결하고 국내에 탄소나노튜브(CNT)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스크린샷 2024-02-27 오전 7.15.31.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TKG휴켐스’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 0.043에서 0.021로 하락…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 0.281에서 0.225로 하락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TKG휴켐스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TKG휴켐스의 2020년 매출 총액은 5935억 원이다. 2021년 매출 총액은 8612억 원으로 전년 대비 45.11% 증가했다. 2022년 매출 총액은 전년 대비 43.5% 증가해 1조2358억 원을 기록하며 1조 원대에 올라섰다.


영업 이익은 2021년 감소했다가 이듬해 증가했다. 2020년 TKG휴켐스 영업 이익은 952억 원이다. 2021년 영업 이익은 933억 원으로 전년 대비 2% 감소했다. 2022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5.51% 증가해 1171억 원이다.


직원 수는 매년 증가했다. 2020년 TKG휴켐스 전체 직원 수는 254명이다. 2021년에는 262명으로 8명 증가했으며, 2022년 직원 수는 263명으로 전년 대비 1명 증가했다.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3년간 하락세를 보였다. 2020년 TKG휴켐스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043이다. 이듬해 매출 총액이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030으로 하락했다. 2022년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매출 총액이 한 단계 더 오르면서 0.021으로 전년 대비 하락했다.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2021년 상승했다가 이듬해 하락했다. 2020년 TKG휴켐스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267이다. 이듬해 영업 이익이 감소하면서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281로 상승했다. 2022년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영업 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0.225로 하락했다.

 

 

스크린샷 2024-02-27 오전 7.11.14.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TKG휴켐스’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0년 TKG휴켐스 직원 평균 연봉 1억200만 원…박주환 회장과 15.71배 차이


TKG휴켐스 직원의 2020년 평균 연봉은 1억200만 원이다. 


박주환 회장은 2020년 16억2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15.71배 차이 난다. 급여는 총 10억3700만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업적이익성과급 2억6250만 원, 초과이익성과급 1억9890만 원, 2020년 임금동결에 따른 타결격려금 1억 원을 합쳐 총 5억6100만 원이 책정됐다. TKG휴켐스 사업보고서에 따라 2020년 성과급 법인지급율은 계량지표와 관련해 업적이익성과급은 175%, 초과이익성과급은 132.6%로 산정됐다. 기타 근로소득으로 선택적 복리후생비 180만 원, 기타 복리후생비 93만 원, 법인세인정상여 21만 원을 합쳐 총 300만 원이 추가로 지급됐다. 


2020년 최규성 부회장은 직원 평균 연봉과 15.50배 차이 나는 15억81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급여는 10억9100만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2020년 성과급 법인지급율에 따라 업적이익성과급 1억9870만 원, 초과이익성과급 1억540만 원, 임금동결에 따른 타결격려금 9090만 원을 합쳐 총 3억9500만 원이 책정됐다. 기타 근로소득은 자녀학자금 400만 원, 선택적 복리후생비 180만 원, 기타 복리후생비 88만 원, 법인세인정상여 4200만 원 등을 합쳐 총 4900만 원이 지급됐다. 또한, 경영성과급 일부를 확정기여형 퇴직연급으로 적립했으며, 적립액은 4500만 원이다. 

 

 

스크린샷 2024-02-27 오전 7.11.24.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TKG휴켐스’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1년 직원 평균 연봉 전년 대비 200만 원 늘어 1억400만 원…박주환 회장과 연봉 격차는 24.43배


2021년 TKG휴켐스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200만 원 늘어 1억400만 원이다.


박주환 회장은 2021년 25억41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24.43배 차이다. 급여는 전년도 법인 KPI 및 영업이익초과율, 개인평가 등급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임원 보수 규정에 따라 17억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업적이익성과급 3억1000만 원, 초과이익성과급 5억3100만 원을 합쳐 총 8억4100만 원이 책정됐다. 2021년 성과급 법인지급율은 계량지표와 관련해 업적이익성과급은 175%, 초과이익성과급은 300%로 산정됐다. 


신진용 사장의 2021년 보수는 9억2100만 원이다. 직원 평균 연봉과 8.86배 차이 난다. 급여는 4억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총 1억9800만 원이 책정됐다. 상여금의 경우 2021년 성과급 법인지급율에 따라 산정된 업적이익성과금 7300만 원, 초과이익성과급 1억2500만 원을 합한 것이다. 기타 근로소득은 14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임원 퇴직금 규정에 따라 퇴직금 3억900만 원이 책정됐다. 

 

 

스크린샷 2024-02-27 오전 7.12.06.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TKG휴켐스’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2년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800만 원 늘어 1억1200만 원…박주환 회장과 연봉 격차는 29.05배 


2022년 TKG휴켐스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800만 원 늘어 1억1200만 원이다.


박주환 회장은 2022년 직원 평균 연봉과 29.05배 차이 나는 32억54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급여는 임원 보수 규정에 따라 20억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계량지표와 비계량지표로 구성된 경영 성과에 따라 12억5000만 원이 책정됐다. 계량지표의 경우 매출이 전년 대비 43% 증가해 1조2000억 원을 달성하고, 영업 이익은 전년 대비 25% 증가해 1171억 원을 달성한 점, 비계량지표의 경우 무재해 및 노사 무분규를 달성한 점이 성과금 책정에 반영됐다. 기타 복리후생비로 기타 근로소득 400만 원이 추가로 지급됐다. 


김우찬 사장은 2022년 5억24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4.68배 차이다. 급여는 3억21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2억100만 원이 책정됐다. 기타 근로소득으로 지급된 기타 복리후생비는 300만 원이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5415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JOB스코어 분석] (268) TKG휴켐스: 2022년 매출 총액·영업 이익 전년 대비 모두 증가…직원-박주환 회장간 연봉 격차는 최대 29.05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