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 일자리](17) IP서비스, 정책, 정보 및 협력을 위한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한국 특허 분야 국제지식재산지수 세계 2위
굿잡뉴스는 ‘직업전망’시리즈를 통해 ‘기존 직업’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하고, ‘신직업 분석’에서 4차산업혁명시대에 새롭게 떠오르는 직업들을 소개했습니다. '국제기구 일자리'는 유엔 등 다양한 국제기구 취업을 꿈꾸는 청년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편집자 주>
균형 있고 효과적인 국제 IP 시스템의 개발을 선도하는 세계지식재산권기구
[굿잡뉴스=이아연 기자] 일상 속 컴퓨터 소프트웨어부터 음악, 영화, 소설 등 예술 매체를 비롯해 현대 생활에서 수없이 만나게 되는 인간의 창작물은 지식재산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식재산권은 생계와 직결되는 아이디어를 지킬 뿐만 아니라, 고객 입장에서 기업의 제품, 서비스, 아이디어 등을 정당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만약 시간과 땀이 투자된 소중한 저작물을 아무나 복제할 수 있다면 그 누구도 자신의 시간이나 노력을 투자해 창작물을 내놓으려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보호를 통해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를 맞아 과거와는 비교될 수 없을 만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빠르게 정보가 공유되고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의 지식재산권 보호는 국제적인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지식재산권이란 지적 능력을 가지고 만들어 낸 창작물에 대한 권리이며, 크게 저작권과 산업재산권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미술, 음악, 영화, 시 등 문화예술 분야의 창작물에 부여되는 것이 저작권이고, 산업과 경제활동 분야의 창작물에 부여되는 발명품, 상표, 디자인, 특허권, 상표권과 같은 것들이 산업재산권에 포함된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는 지식 재산 분야의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특허 처리, 상표출원, 회원국의 지식재산권 제도 수립 지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국제 표준을 정하고, 조약을 체결하거나 지식재산권 법률의 국제협력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개발도상국에는 지식재산권에 대한 법ㆍ기술적 원조를 하는 등 인류의 자산인 아이디어들의 보호와 활용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기구 특성상 다른 국제기구보다 더 많은 법률전문가가 일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변호사 외에도 200여명의 심사관을 비롯해 IT 서비스 개발이나 플랫폼 관리를 담당하는 IT 전문가도 다수 근무하고 있다. 또한 여러 나라의 언어가 업무에 사용되기 때문에 통역사도 많이 뽑고 있다.
참고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미국상공회의소 산호 글로벌혁신정책센터가 발표한‘2022년 국제 지식재산권 지수’ 특허 분야에서 100점 만점 94.44점을 받아 분석 대상 55개 국가ㆍ경제체제 중 미국, 일본, 스위스와 공동 2위다.
상표권 부문에서는 93.75점으로 단독 3위에 올랐고, 종합 지수 평가에서는 83.94점으로 12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국가 중 일본, 싱가포르에 이어 3번째로 순위가 높았다.
지원 자격=국제기구에서 일한 경험은 큰 도움이 돼
관련 전공의 대학 학위가 필요하며 책에서, 학교에서 배우는 것이 아닌 현장에서 관련 업무를 진행했던 경험이 있어야 한다.
다른 유엔 국제기구와 같이 영어 또는 프랑스어를 읽고 쓰고 말할 줄 알아야 하며 다른 유엔 언어인 스페인어, 중국어, 러시아어, 아랍어 중 하나라도 더 사용할 줄 알면 유리하다.
정보통신 지식이 필요한 많은 직무 수요가 WIPO 내에 발생함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 능력과 적절한 분석능력뿐만 아니라 지식재산권법에 자격을 갖춘 지식 재산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적인 측면의 능력 외에도 WIPO는 서비스 정신과 국제 근무 경험을 겸비한 인재를 선호한다.
또한 조직 내 다양한 국적의 팀원들과 조화를 잘 이루며 일할 줄 알아야 하며 글로벌 고객들에게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혁신을 이루는 것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평균 보수=기본 급여에 지역조정금을 더해 받는 체계
WIPO는 유엔 전문 기구로 유엔의 시스템과 체계를 따른다.
유엔은 노블메이어 원칙(Noblemaire Principle)에 따라 가장 높은 수준의 급료를 받는 회원국의 국민을 고용하기 위해 회원국 가운데 임금 수준이 가장 높은 공무원의 급여 체계에 따라 전문직군의 급여 수준을 정한다.
보수의 기본 구조는 기본급여(Base salary)에 지역조정금(Post adjustment), 각종 수당 및 혜택을 더한다. 표는 직원의 종류 중 전문직 및 고위직의 기준으로 작성된 급여표로 각종 수당이 제외된 기본급여이다.
Level(P-1~USG)은 직급을 의미하며 Step(I~XIII)은 호봉, Gross는 총액, Net은 직원 부과금을 제외한 실제 수령액이다. P-1 직급의 1호봉은 총 4만6413달러로 한국 돈으로 환산 시 약 6100만원이다. 13호봉까지 갈 경우 6만4332달러로 한국 돈으로 환산 시 약 8500만원이다.
여기에 사후 조정금을 합쳐서 보수를 받게 되며 사후조정금은 가변적이며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직업적 가치=국경을 초월해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는 글로벌 서비스를 실현
이들은 정부, 기업 및 사회가 IP(Intellectual property)의 이점을 실현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변화하는 세계에 맞춰 균형 잡힌 국제 IP 규칙을 형성하기 위한 정책 포럼을 제공한다.
IP 시스템을 연결하고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기술 인프라를 제공하고 모든 국가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위해 지식재산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